첫 방법은 REST API 로 제 백엔드 서버와 이 앱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아서주로 백엔드 서버쪽에서 카카오 응답처리를 해주고 하는 방식으로 처리 했습니다. 카카오 dev에서 공식적으로 제공해주는 Flutter 버전을 사용하여 구현 했습니다.
// Future --> "미래에 무엇무엇을 가져올것이다." 라는걸 알려줌Future checkKakaoLogin() async { // 토큰 담을 변수 OAuthToken token; // 회원 정보 User userInfo; // 카카오톡이 깔려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isKakaoTalkInstalled() 함수 if (await isKakaoTalkInstalled()) { // UserApi 는 kakao 를 설치하면 UserApi 라고 카카오 로그인 API Class 를 쓸 수 있습니다. // instance를 통해 "카카오앱"을 이용해서 로그인 시도 token = await UserApi.instance.loginWithKakaoTalk(..
요새 플러터로 계속 뭔가 만들어 보고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냥이월드" 다른 말로 "퇴근 냥이" 입니다. 사실 제 옆에 있던 대리님이 앱 만드는 김에 내 퇴근시간 측정하는거 만들어 달라고 하셔서 만들었다가 괜찮은 아이디어가 하나하나 생각나서 점점 발전해 나가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입니다. 디자이너 님도 같이 합류하기로 했고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github로 버전관리를 하고 있으며 이래저래 계속 시도해 볼 생각입니다.https://github.com/GangOn0215/study/tree/main/mobile/flutter/project/freedom_timer
니꼬쌤 강의 보고 포모도로 앱 만든 뒤 연습삼아 그냥 만들어 본 스톱워치아직 구간 기록은 구현이 안되어 있고 그 외는 모두 만들어놨습니다.삼성 앱에 시계 기능 중 스톱워치 기능을 그대로 가져와서 구현했습니다.다만 아쉽다면.. 마구자비로 짜내다보니 코드가 좀 엉망입니다..그 중 핵심코드를 꼽자면 // 밀리세컨드 기준으로 분:초:밀리세컨드 포맷 String format(int milliSecond) { int tempMilliSecond = milliSecond % 100; int tempSecond = ((milliSecond / 100) % 60).toInt(); int second = (milliSecond / 100).toInt(); int min = (second / 60..
니꼬쌤 강의 들으며 포모도로 앱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주제는 포모도로 앱이고, 흔히 25분 일하고 5분 쉰다는 개념으로 필수적으로 시간이라는 개념이 들어가는 앱입니다. 그리하여, Timer 이라는 객체에 대해 공부를 해보았습니다. import 'dart:async';Timer? timer;int totalSeconds = 2500;// 타이머 시작void onStartPressed() { timer = Timer.periodic(Duration(seconds: 1), onTick);}// 1초마다 시작할 콜백 함수void onTick(Timer timer) { setState(() { totalSeconds--; });} 위와 같이 'dart:async' 를 import 해줘야 되구요.Tim..
원하는 목표: 기억력 테스트 원래는 그냥 클릭하는 게임을 만들려고 했는데... 만들다 보니 아이디어가 떠올라서 기억력 테스트 게임을 만들어봐도 괜찮을거라 생각했다......만 내 실력을 훨씬 뛰어넘는 개념과 능력이 필요해서 일단 바이브 코딩으로 해보기로 했습니다.첫 화면. 이며 숫자 9가지를 보여줍니다. 점수를 얻는 방식은 1~9까지의 숫자를 순서대로 맞추는 것 입니다.5초가 지나면 다음과 같이 ? 가 되어 나오고 클릭하면 카드가 돌아가며1 ~ 9 까지 순차적으로 맞추면 점수가 올라가게 됩니다.중간에 틀리면 Game Over 라고 뜨며, 게임 종료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