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Google Cloud Platplatform(GCP) 를 해보며 괜찮다고 생각이 되어 최근에 클라우드 플랫폼이 꽤나 인기를 끌면서 이걸 정리하면 나중에 두고두고 보겠다 싶어서 블로그에 정리하기로 했습니다.

일단 GCP에 로그인을 하고 대시보드에 들어가줍니다.
1. 왼쪽 상단에 작대기 3개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사이드 메뉴가 나오는데 Computer Engine을 눌러줍니다.
2. 그리고 VM 인스턴스를 눌러줍니다.

3. 인스턴스 만들기 를 눌러줍니다.

4. 부팅 디스크를 바꿔줍니다, 기본 Debian 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안건드려도 되고 그게 아닌분들은 ubuntu 또는 centos 를 설치해줄것입니다.

5. 변경을 눌러줍니다.

6. 운영체제를 클릭하고 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해줍니다.
Ubuntu 또는 CentOs 또는 원하는 것
버전도 개인 취향에 맞게 설치해줍니다, 저는 Ubuntu 20.04 LTS 를 선택했습니다.
크기는 개인적인 취향이긴한데 크기는 무료버전에선 30GB까지 지원해줍니다, 그 이상을 할시 유료가 될 수 있는 점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7. 부팅 디스크 밑에 ID 및 API 액서스를 확인해줍니다. 서비스 계정은 그대로 두고 방화벽 부분에 두개의 체크박스가 원래는 체크가 되어있지 않을것입니다. 체크 해줍니다.
그리고 만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8. 만들기 누르고 2~5분 기다리면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그럼 이제 연결 부분에 SSH를 눌러주면 작은 새 창이 나올것입니다.

9. 이렇게 나오면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것입니다.

고생하셧습니당
'BackEnd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VM 인스턴스] rsa key 와 ssh 연결 (0) | 2022.07.25 |
---|---|
[GCP VM 인스턴스] Node.js 설치 및 실행 (0) | 2022.07.24 |
[ ORM ] Sequelize - Migration (0) | 2022.04.29 |
[ ORM ] Sequelize - Seeders (0) | 2022.04.26 |
[ ORM ] Sequelize - 2 (0) | 2022.04.25 |